프로젝트 창의 구성을 알아 볼건데요! 크게 분류되있는거 부터 한번 보죠!
프로젝트 창의 위쪽으로 도구 모음 줄이 있고, 아래쪽으로는 트랜스포트가 있습니다.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존을 중심으로 왼쪽 , 오른쪽 , 아래쪽으로 4개의 존이 존재해요!
도구 모음줄에는 스테이터스 라인(Status Line) , 인포 라인(Info Line) , 오버 뷰 라인(OverView Line)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으며, 메인 창도 프로젝트 존을 제외한 나머지 존을 감추고 있거나 표시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왼쪽 존(Left Zone)에는 인스펙터(Inspector)와 비저빌리티탭(Visibility)이 있고 오른쪽(Right Zone)에는 Vst Instrument, MediaBay 탭이 있고, 아래쪽 존 (Low Zone)에는 믹스콘솔(MixConsole), 에디터(Editor), 샘플 컨트롤(Sampler Control) 코드 패드(Chord Pads) 탭이 있어요!
맨 아래쪽은 트랜스포트(Transport) 라인도 열거나 닫을 수 있어요!
도구 모음 줄과 프로젝트 존을 제외한 나머지 존은 필요에 따라 열거나 닫을 수 있으며, 레이아웃 버튼으로 결정합니다!
프로젝트 창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도구 모음 줄에는 여려가지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
는데요!
오른쪽 끝에 위치한 톱니바퀴 모양의 Setup Toolbar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들로 구성할 수 있어요!
OverView Line은 프로젝트 존의 이벤트를 한 눈에 탐색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해요!
오버뷰 존
프로젝트 존은 사용자가 입력한 미디 및 오디오 이벤트를 트랙별로 기록하고 보여줍니다. 기록된 이벤트는 시간 단
위의 가로 바 형태로 표시되고, 미디 및 오디오 데이터를 묶은 것은 파트별로 구분되요!
프로젝트 존의 세로 라인은 트랙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든 이벤트는 선택한 트랙에 만들어져요!
오디오트랙, 가상악기트랙, 미디트랙 등 다양하게 있죠!
프로젝트 존의 가로 라인은 시간 단위로 구성되어있어요!. 룰러 라인에서 마디 및 시간 단위를 표시하죠!
곡을 재생하거나 사용자 연주를 녹음할 때 움직이는 세로선은 편집 위치를 표시하는 송 포지션 라인이에요!
프로젝트 왼쪽 존은 인스펙터(Inspector)와 비저빌리티(Visibility) 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스팩터 탭은
선택한 트랙의 연주 정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각종 피라미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라미터들의 종류와 기능은 선택한 트랙에 따라 차이
가 있어요!
프로젝트 오른쪽 존은 VST Instrument와 Media Bay 탭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VST Instrument 탭은 작업에 사용하는 모든 가상 악기를 랙 타입으로 표시해둔 창이며,
스튜디오에 보면 흔히 볼수 있는 진열랙이랑 비슷한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VST Instruments 탭
프로젝트 아래쪽 존은 믹스 콘솔, 에디터, 샘플 컨트롤 ,코드 패드 탭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믹스 콘솔은 스튜디오의 믹스 콘솔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모든 입/출력 라인을 컨트롤해요!
단축키는 F3입니다!
믹스 콘솔 탭
선택한 미디 파트 또는 오디오 이벤트를 편집할 수 있는 창이에요! 오디오 이벤트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샘플 에
디터 창이 열리고 , 미디 파트를 선택하면 키 에디터가 열려요!

에디터 탭
프로젝트 가장 아래쪽으로 재생 및 녹음 등의 컨트롤을 담당하는 라인이에요! 단축키는 F2입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