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6. 인스펙터 창의 역할과 기능

큐베이스 배우기

by 무엇이든2PD 2020. 3. 24. 22:42

본문

우리는 작업을 하려고 프로젝트 창을 새로 만들고 트랙을 만드는 법, 그리고 트랙의 종류까지

알아보았죠? 그럼 트랙의 정보나 파라미터를 내가 원하는데로 자유롭게

다룰 줄 알아야 하겠습니다! 

주로 음악작업할때 필요한 것들을 중심적으로 알아볼게요!


           인스펙터 창!
  • 컨트롤 파라미터

미디 트랙의 인스펙터 창 컨트롤 파라미터에는 트랙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는 이름 패널과 

뮤트버튼, 솔로 버튼, 읽기 버튼, 쓰기 버튼, 디바이스 열기 버튼, 트랜스포머 등의 버튼이

있고, 오디오 트랙의 컨트롤 파라미터에는 미디에 관련된 패널이 없고, 트랜스포머 버튼자리에

오토 페이드 버튼, 인-플레이스 버튼 자리에 프리즘 버튼이 있다는 차이만 있을 뿐 대부분이

비슷합니다.

Visibility 탭은 라디오 버튼을 on/off 하여 화면에 표시할 트랙을 선택하는 역할을 하며

Sync 버튼을 클릭하면 믹스 콘솔과 함꼐 동작되도록 하는 메뉴를 제공해요!

  • 트랙 이름

사용할 트랙이 어떤 악기의 트랙인지 네이밍을 할수 있습니다!

트랙 이름을 변경할 때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Enter 키를 누르면, 트랙에 존재하는 이벤트의 

이름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습니다. 트랙의 이름은 각 트랙에 입력한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할 때

중요하므로 반드시 입력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아요!

더블 클릭으로도 이름을 변경할 수 있죠! 가급적이면 작업전에 미리 트랙의 이름을 정해놓는게 

팁입니다!

  • 트랙 색상 선택

트랙마다 색상을 다르게 설정해서 각 트랙의 성격을 구분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요!

이것은 바로 직관적으로 트랙을 구분할 수 있기에 매우 유용한 기능이에요!

습관이 안돼서 그냥 넘어가시는 분들도 있는데, 이런 작은 것이 많은 트랙의 작업을 할 때

크게 다가오는 경우가 있죠!

트랙 번호가 표시되어 있는 색상의 부분을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선택하면, 해당 트랙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바가 열립니다.

자신만이 구분할 수 있게 드럼파트는 빨간색, 컴핑파트는 파란색 등으로 설정해주시는 것이 좋죠!

  • 채널 믹서 열기 버튼

선택한 트랙의 모든 파라미터를 하나의 창에서 컨트롤 할 수 있는 채널 믹서 창을 열어줍니다.

채널 믹서는 여러개의 트랙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는 믹서 창에서 하나의 채널만 컨트롤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작업 결과는 동일하죠! 편합니다! 한눈에 보기에!

채널 믹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트랙의 Inserts, Equalizers, Sends, Channel 파라미터를

하나의 창에서 컨트롤 할 수 있죠!

  • 뮤트와 솔로 버튼

뮤트 버튼의 선택한 트랙의 사운드를 들리지 않게 하고, 솔로 버튼은 선택한 트랙의 사운드만 들리게 

하는 기능입니다!

믹싱을 하다보면 특정 트랙만 들어야 할 때도 있고 빼고 듣기도 하는데요! 가장 자주 사용하는 기능중에

하나입니다.

  • 오토메이션 기록하고 읽기 버튼

오토메이션 트랙에 기록한 파라미터 조정 값을 읽어주고, 쓰기 버튼은 오토메이션 트랙에

각종 파라미터 값을 기록합니다. 이 두가지 기능은 조정하는 모든 파라미터의 조정 값들을

리얼로 기록하고, 읽을 수 있는 것으로 믹싱 작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오토메이션을 쉽게 설명하지면 , 플레이 중에 내가 어떤 값을 자동으로 줄였다 늘렸다 설정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인데요, 나중에 자세하게 한번 다뤄볼게요!

  • 디바이스 버튼

쓰기 버튼 오른쪽에 있는 디바이스 열기 버튼은 디바이스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

패널을 열어주고, VST Instrument를 사용하고 있는 트랙에서는 VST 패널을 열어줍니다!

디바이스 설정을 하지 않은 미디 트랙이라면, 이 버튼을 사용 할 수 없구요!

오디오 트랙은 디바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패널을 열어줍니다!

디바이스 패널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컨트롤러를 파라미터에 연결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자동 페이드 버튼

오디오 트랙에서 연주되는 이벤트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에서 피킹 잡음일 발생하지 낳게

페이드 인/아웃 효과를 적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기능도 정말 사소하지만 너무나 중요한 기능이구요! 저도 필히 제가 오디오 클립 작업을 한 뒤에

바로 마무리를 이 기능으로 해줍니다! 꼭 잊지 말고 사용해주세요!

  • 오디오 이펙트를 실시간으로 적용하기

입력하는 사운드를 모니터 할 수 있는 모니터 버튼은 미디와 오디오 트랙에 모두 있습니다!

미디 트랙의 경우에는 선택한 트랙의 Enable Record 버튼이 꺼져 있거나 사용하는 악기에

Local On 기능이 없는 경우에 입력하는 정보를 모니터 할 수 있는 것으로 별로 사용할

일은 없어요;;;ㅎㅎ

  • 타임 베이스 버튼

타임 베이스 버튼이 음표이면 이벤트를 마디 단위로 취급하고, 시계이면 시간 단위로 취급해요!

음악작업을 할 경우 기본값인 마디 단위를 사용하여 템포에 따라 입력한 이벤트의 위치가 

음악작업에 사용하는 마디 단위로 변경되게 하고, 영상 음악 작업을 할 경우에는 시간 단위를

사용하여 템포 변화에도 같은 시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요!

  • 잠금버튼

아주 중요한 이벤트를 입력한 트랙을 보존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사용자 실수로 파트를 이동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없게 합니다! 인포라인의

Lock 기능은 선택한 이벤트에 적용하는 것이고, 인스펙터의 Lock은 트랙에 있는 전체

이벤트를 적용한다는 차이점이 있어요!!

  • 볼륨 조정 슬라이드

볼륨 슬라이드는 트랙의 연주 볼륨을 조정해요!

미디 트랙의 경우에는 0~127까지의 범위로 조정이 가능해요! 

오디오 트랙의 경우에는 0~06.2db 까지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어요!

볼륨 컨트롤 정보가 입력된 미디 트랙인 경우에는 슬라이드의 조정 값이 무시됩니다!

  • 팬 조정 슬라이드

팬 슬라이드는 사운드의 좌/우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C는 가운데 Center를 나타내고 왼쪽을 L ,오른쪽을 R 로 조정값을 정할수 있어요.

볼륨 컨트롤과 마찬가지로 

팬 컨트롤 정보를 입력한 마디 트랙의 경우에는 슬라이드 조정 값이 무시되요!

오늘은 여기까지에요!!


'큐베이스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 키 에디터  (0) 2020.03.26
7-1. 키 에디터  (0) 2020.03.25
5. 트랙의 종류와 역할  (0) 2020.03.23
4. 프로젝트 창 익히기  (0) 2020.03.21
3. 프로젝트와 템플릿 만들기  (0) 2020.03.2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