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T는 Virtual Studio Technology의 약자로 스튜디오의 하드웨어 장비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한다는 의미에요! VST는 악기를 구현하는 Instrument와 이펙트를 구현하는 Effects
로 구분하지만, 일괄적으로 VST라고 부릅니다! 앞서 강의에서도 자주 언급했었지만
이제야 들어다보내요ㅎㅎ
이렇게 VST는 이미 수많은 히트곡에서 사용되고 있을 만큼, 하드웨어와 대등한 음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큐베이스 안에 있는 내장악기로 예를들어 한번 자세히 설명해볼게요!
큐베이스에서 제공하는 VST Instruments를 사용하는 방법과 다른 제작에서 출시되는
VST Instruments의 사용법은 동일해요! 모습들은 좀 다르지만 사용법은 비슷하죠!
큐베이스 안에 있는 VST Instruments만 익히면 다른 악기들은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할
거에요! 사용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요!
첫 번째는 VST Instruments 트랙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트랙 리스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단축 메뉴를 열고, Add Instruments
Track을 선택해요!
트랙 수(Count)와 악기(Instruments)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열려요!
Instruments에서 사용할 악기를 선택하거나 Browser 옵션으로 음색을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어요!
큐베이스 내장 악기인 HALion Sonic SE를 불러보도록 할게요!
음색은 프로그램 항목 또는 악기 패널의 Load Program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미디 아웃에서는 다른 악기를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어요!
Add Instruments Track 창에서 Browse 버튼을 선택하면, 음색
카테고리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선택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악기를 로딩할
수 있어요! 목록에서 음색을 선택하고, 마스터 건반을 연주해서 모니터 해볼 수도
있어요!
두 번째는 미디 트랙에서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오른쪽 존 열기 버튼을
클릭하여 VST Instruments 탭을 엽니다!
VST Instruments 패널에서 악기를 추가할 때 Add 버튼을 이용해요!
이미 악기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Track Instruments를 클릭하여 트랙을
추가하거나 Rack Instruments를 클릭하여 악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 악기 패널이 열립니다. 음색은 인스펙터 파라미터의 프로그램 항목이나
악기 패널의 프리셋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어요! 패널을 닫았을 경우에는 인스펙터 창의
편집 버튼을 클릭하여 열 수 있어요!
VST Instruments를 많이 사용하게 될시에 시스템이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중에 하나는 데이터 입력과 편집이 모두 끝난 악기는
Freeze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하는 것이에요!
선택한 악기에만 적용할 것인지 (Freeze Instruments Only), 해당 악기가
사용된 모든 채널에 적용할 것인지 (Freeze Instruments and Channels)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과 잔향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Tail Size 옵션이 있는 창이 열립니다!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고, OK버튼을 클릭하면 잠시 프로세싱 작업이 진행되고,
미디 이벤트는 더 이상 편집할 수 없다는 의미의 자물쇠 모양이 표시되요!
이벤트를 편집할 일이 있다면, Freeze 버튼을 Off하여 해제하면 됩니다!
다음 시간에도 이와 관련된 내용을 좀더 다뤄볼께요!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