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음으로 구성된 코드를 트라이어드(Triads)라 합니다! 트라이어드는 크게 네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서스펜디드 트라이어드를 포함시켜 다섯 가지로
설명해볼게요!
메이저(Major), 마이너(Minor), 디미니시드(Diminished), 오그멘티드(Augmented),
서스펜디드(Suspended) 등이 있어요!
메이저(Major) 트라이어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아요!
3도 음은 근음(Root)으로부터 장3도 음정이며, 5도 음은 근음으로부터 완전 5도
음정으로 되어 있어요.
메이저(Major) - 장3도 - 완전5도
마이너(Minor) - 단3도 - 완전5도
디미니시드(Diminished) - 단3도 - 감5도
오그멘티드(Augmented) - 장3도 - 증5도
서스펜디드(Suspended) - 완전4도 - 완전5도
위의 형태로 근음과 나머지 3도 5도를 쌓아주면 색깔에 맞는 코드를 만들수 있어요!
코드의 저음(Bass Note)을 근음(Root) 외에 다른 코드 톤(Chord Tone)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자리바꿈(Inversion)을 만들 수 있어요. 트라이어드의 경우 코드톤(Chord Tone)이 세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세 가지의 다른 자리바꿈 코드를 만들 수 있죠!
코드의 저음(Bass Note)이 근음일 경우 루트 포지션(Root Position)이라고 합니다!
코드의 저음(Bass Note)이 3도일 경우 첫째자리바꿈(1st Inversion)이라고 합니다!
코드의 저음이 5도일 경우 둘째자리바꿈(2nd Inversion)이라고 합니다!
C 를 루트로 자리바꿈해보면?
Root Position - C E G
1st Position - E G C (C/E)
2nd Position - G C E (C/G)
이런식으로 되겠죠?
보이싱(Voicing)은 하나의 코드에서 코드를 구성하는 음의 다양한 위치 변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음의 배합입니다!
코드는 하나이지만, 그 코드에서 만들어 낼 수 있는 보이싱은 매우매우 많죠!
예를 들어, C 코드는 C, E, G 세 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C 코드의 보이싱은 다양하게
만들 수 있죠!
많죠?ㅎㅎ
보이싱은 크게 클로즈드 보이싱(Closed Vocing)과 오픈 보이싱(Open Vocing)으로
나눌 수 있죠!
클로즈드 보이싱(Closed Vocing)은 코드를 구성하는 각 음들이 더 이상 근접할 수 없을
만큼 서로 밀착되어 있는 밀집 보이싱이며, 각 자리바꿈(Inversion)에서 하나씩 존재합니다!
오픈 보이싱(Open Vocing)은 하나의 일정한 코드에서 클로즈드 보이싱(Closed Vocing)을
제외한 모든 보이싱에 해당하며 이러한 보이싱은 어떠한 형태로든 음이 밀집되어 있지 않고,
열려 있는 모양입니다!
요런 형태죠?
모든 오픈 보이싱의 울림이 좋은 것은 아니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울림이 좋은 오픈 보이싱은
밑에서 두 번째 음을 한 옥타브(Octave) 위로 올림으로써 만들 수 있어요!
보이스 리딩(Voice-Leading)은 코드 진행에서 코드가 변화할 때 선택된 보이싱과
보이싱의 연결을 의미합니다! 올바른 보이스 리딩은 음악의 편곡이나 연주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죠. 일반적으로 좋은 보이스 리딩은 전 코드에서 선택된
보이싱과 다음 코드에서 선택된 보이싱이 서로 공통음(Common Chord Tones)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안에서 움직이는 코드 음들은 반음이나 온음을 주로 사용하죠!
오늘은 여기까지 할게요!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