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베이스안의 VST Instrument를 살펴 볼텐데요!
무료로 제공되고 있는 것이지만, 사운드 퀄리티는 상업 음악을 만드는데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훌륭하죠! 특히 , VST Instruemnts의 사용법은 모두
비슷하기 때문에 큐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것들을 모두 마스터하면, 다른 회사제품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겠죠?? 그럼 미디 편집기능들을 모두 살펴보겠습니다!
퀀타이즈란 정확한 타임에서 어긋난 노트들을 자동으로 정렬하는 편리한 기능이지만,
모든 파티에 퀀타이즈를 적용하면 인간미가 없다는 인간을 들을 수 있어요 ㅎ
그러므로, 곡의 시작 또는 세션 부분에서만 퀀타이즈를 적용하는 것도 요령이에요
반대로 마우스 또는 스텝 방식으로 입력한 노트들은 랜덤 기능을 이용해서 어긋나도록
해야할 때도 있어요!
앞에서 살펴본 Quantize는 노트의 시작 위치를 정확하게 그리드 라인에 맞춥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약간은 느슨하게 퀀타이즈를 잡아줄 필요가 있는데,
이런 역할을 하는게 Iterative Quantize에요! 기본값은 60%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노트의 시작 위치를 정확히 맞추는 것이 아니라 60%만 맞춥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퀀타이즈 값을 설정할 수 있는 Quantize Setup 창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죠!
퀀타이즈 목록 오른쪽의 작은 삼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는 Open Quantize Panel 버튼을 클릭하고
Grid는 한 마디에서 만드는 퀀타이즈 라인을 설정합니다.

판넬창
Swing은 Grid 항목에서 선택한 단위에서 업 박자에 해당하는 라인을 퍼센트 단위로
조정하여 스윙 퀀타이즈를 설정할 수 있어요!
Catch Range는 퀀타이즈 적용 범위를 퍼센트 단위를 설정해요!
여기서 설정한 범위내의 노트들만의 퀀타이즈 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창에서
파란색으로 범위를 확인할 수 있어요!
Non-Q는 앞의 Catch Range와 반대개념으로, 여기서 설정한 범위의 노트들은
퀀타이즈하지 않아요! 인간적인 연주를 만들기 위해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죠
Tuplet 항목은 Grid에서 설정한 단위를 몇 개로 세분화 할 것인지 설정합니다!
Randomize는 마우스와 스텝 방식으로 입력한 노트들을 리얼로 입력한 듯이
그리드 라인에 벗어나게 합니다. 설정하는 단위는 틱 값이고, Non Quantize로
범위를 제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iQ Mode는 Iterative Strength 값을 설정합니다.
Quantize
Edit 메뉴에는 퀀타이즈를 적용하는 Quantize, 취소하는 Reset Quantize,
패널을 여는 Quantize Panel과 하위 메뉴를 가지고 있는 Advance Quantize를
제공하죠!
Quantize MIDI Event Lengths
노트의 길이를 정렬합니다. 미디 편집 창의 Quantize 항목에서 1-8 Note를 선택하고
이 메뉴를 선택하면, 입력한 각 노트의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8개의 가상라인을 만들어
가장 가까운 라인까지 노트 길이를 정렬합니다!
Quantize MIDE Event Ends
Quantize MIDI Event Lengths와 비슷한 기능으로, 노트의 끝 지점을 정렬해요!
Quantize MIDI Event Lengths와의 차이점은 시작 지점에 상관 없이 무조건 퀀타이즈
라인에 맞추어 길이를 정렬한다는 거에요!
Freeze Qunatize
적용한 퀀타이즈를 고정합니다. 하나의 파티에서 2가지 이상의 퀀타이즈 값을 적용하고
싶을 때 사용해요. 예를 들어 8비트 노트와 12비트 노트를 함께 퀀타이즈 할 경우, 12비트
노트만을 정렬 후 고정하고, 나머지 8비트를 정렬하는 것 입니다!
Create Groove Quantize Preset
선택한 파트의 노트 값을 기준으로 퀀타이즈를 만들어 퀀타이즈 목록에 추가합니다.
작업 중인 파트의 노트를 기준으로 다른 파트를 정렬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다음시간에 좀 더 알아볼게요!
댓글 영역